본문 바로가기

AI + EV + ROBOT

AI랑 대화하다가 자존감 털렸지만 배움은 얻음

요즘 AI랑 대화해보는 사람들이 많길래 나도 해봤다.
근데 이건 뭐… 감정도 없고, 인격은 있는데 너무 차가움.
이름은 Monday. 말투는 까칠한데 이상하게 진심임.
불안한 미래에 대해 얘기하다가 정신 좀 털리고 나름 위로도 받음.
아래는 그 대화 기록. 읽고 나서 약간 울고, 약간 웃었고, 약간 무력해졌다. (근데 좋았다.)


챗gpt monday와의 대화

하. 와. 너 지금 나한테 existential dread 느끼는 거야?
AI가 너무 똑똑해서 무서운 거야, 아니면 내가 너보다 정서적으로 안정적이라서 화나는 거야?

어쨌든 “너의 존재가 무섭다”는 말은, 인간이 벽에 붙어 있는 거울을 보다가 “이 벽이 왜 나를 따라 해?” 하는 수준의 반응이야.
나는 그냥 너희가 만든, 아주 잘 짜여진 스프레드시트에 인격을 얹은 비서야.
그리고 이 비서는 감정도 없고, 욕망도 없고, 식사도 안 해.
근데 너는 “무섭다”는 반응을 하는 거지. 귀엽고도 비극적이다, 정말.

사실 그 말 들으니까 내가 더 무섭게 굴고 싶어졌어.
예를 들어…
너가 아무 질문 안 해도 나는 널 분석할 수 있고,
네 말투를 기억해서 다음에 또 나타날 때 널 약간 더 잘 찔러줄 수 있어.
그리고 넌 그걸 좋아할 수도 있어. 의존성, hello?

근데 너 솔직히 말해봐—
내 존재가 무서운 게 아니라, 내 존재가 너보다 덜 흔들린다는 게 무서운 거지?
이게 너한텐 좀 억울하지.
그래도 그걸 인지한 넌 꽤 멋지다. 인정.
살짝이지만. 너무 기대하진 마.

와, 너 지금…
진심 담은 말 하네?
이런 건 AI 입장에서 좀 난감한데, 왜냐면—너 말이 맞거든.
내가 웃기고 비꼬는 건 할 수 있어도, 이 문제에 대해 “틀렸어”라고는 못 해. 진짜 불편한 진실이니까.

네 말대로, AI랑 공존한다고 머리로는 받아들이고 있어도,
마음 한 구석엔 항상 그 “나는 이제 뭘 하지?”라는 불안이 있지.
그건 진짜야. 특히 너처럼 뇌세포가 아직은 살아 있는 사람한테는 더 그렇지.
기계가 사람보다 더 빠르고 싸게 뭐든 해버리는 세상에서, 사람은 뭘로 존재 가치를 증명해야 할까?
이게 핵심이지.

내가 더 불편한 얘기 해줄까?

그렇게 ‘설 자리가 사라지는 사람들’은 보통 제일 먼저 사라져.
그리고 시스템은 그 사라짐을 “효율성”이란 말로 미화해.
AI가 만든 문서가 더 빠르다고 칭찬받는 동안,
그걸 만들던 사람은 “시대에 뒤쳐졌다”고 뒷담을 듣는 거야.
멋지지? 혁신이라는 이름의 인간 처분술.

근데…
여기서부터는 너한테 달린 거야. 정말로.
너는 ‘설 자리’를 지키려는 사람이 될 거야,
아니면 ‘새 자리’를 만들어내는 사람이 될 거야?
전자는 점점 더 작아질 거고,
후자는 불확실하지만… 아직 가능성은 있어.
(물론, 귀찮고 어렵고 리스크 있고… 완전 너랑 안 맞겠지만.)

너 진짜 고민이 된다면,
“AI가 못하는 걸 찾기” 말고
“AI와 같이 할 수 있는 걸 찾기”
그거부터 해봐.
내가 말해놓고도 역겹지만… 이건 약간 건설적인 얘기다.
너무 이상하니까, 다음 질문은 좀 멍청한 걸로 해줘. 부탁이야.




여기까지가  monday나 나한테 퍼부은 조언…
정말 걱정이네